|
민예관설립취의서”를 발표하면서 민예운동의 전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934년에는 14년만에 일본을 방문한 리치가 머물면서 하마다, 가와이, 도미모토와 작업을 해나가기도 했다. 이 무렵 민예운동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서 1936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예에 관한 일본학자들의 연구내용고찰 』경희대교육대학원,2005
박미선,『야나기무네요시를 중심으로 한 민예운동에 관한 연구』,홍익대대학원,1995 1. 들어가는 말
2. 민예 운동의 형성
3. 비판에서 바라본 야나기
1)오구마의 비판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3.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개 요인으로서의 타자」 『미술사학보』 18집
방병선 ‘야나기 민예론’“인간성 부정하는 공예” <한겨레신문>2002년 8월 2일자
出川直樹, 정희균 역 『人間復興の工芸―「民芸」を超えて』平凡社ライブラリ,『인간 부흥의 공예』 200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17.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운동의 형태에 있어서도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야나기 무네요시는 자력과 타력 모두를 중시했는데 그러한 입장은 현실의 민예운동에서 장인과 개인 작가를 둘러싼 문제로 나타났다.
즉, 야나기 무네요시는 개인 작가와 장인을 명확히 구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운동의 지형과 우현」, 제5회 인천학 세미나 우현 학술제
문명대, 「日帝時代의 한국미술사학」 『한국미술사학의 이론과 방법』, 열화당, 1978.
박노현, 「조선을 제도하는 미술」, 한국문학평론 제7권 제2호 통권 제25호(2003, 여름)
박래경, 「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