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활란 박사 소묘}, 이화여대출판부, 1959. 해방전후사의 인식
Ⅰ.김활란(金活蘭,일본명아마키카츠란(天城活蘭), 1899~1970)
●약력
●대표적인 친일 행각
●친일의 길 걸은 여성 지도자의 대명사
●민족주의자 김활란
●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족주의자들의 변절과 협력의 논리. 이명화
한국근현대사와 친일파 문제. 민족문제연구소 . 아세아 문화사 .2000
-친일파의 존재양태와 구조적 성격. 서중석
-친일파의 정의와 범주. 임헌영
-친일파의 형성과정과 사상적 배경. 하원호
-일본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활란 등이다.
3.개량주의 민족주의자들의 최후
1931년 신간회가 해소된 이래 민족주의 계열로서 조직적인 운동을 전개한 단체로는 동우회와 흥업구락부가 있었다. 동우회는 미주 흥사단의 지부인 상해원동임시위원부의 지소인 수양동우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활란, 박인덕, 신준려, 김마리아 등과 함께 이화학당에서 비밀 회합을 가진 죄로 감옥 생활을 하기도 했으며, 중국 단둥에서 외교관 부인 신분을 이용해 독립운동가들을 비밀리에 지원한 민족주의자였다.
1920년 동아일보에 약혼자 김우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