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화소재 및 의미
호랑이→ 잡귀를 쫓아낸다.
용→ 복이 들어오길 빌며, 집안의 평안을 빈다.
십장생→ 무병장수
닭→ 붉은 닭은 마귀를 쫓아내며 암탉은 다산을 상징한다.
모란→ 부귀를 상징하며 여성에게 족자로 바칠 경우미모의 찬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12.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화를 차용하여 창작하는 한국화가다. 노, 주걱, 빨래판, 쟁반, 창문 틀, 장기판 등등 다양한 생활도구에 그려 넣은 단순화 되고, 디자인적 요소가 강한 민화의 소재들은 정말 흥미로웠다. 그림을 그린 공간 자체가 생활적인 요소가 강한 데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5.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화의 기능과 역할
1. 민화의 기능과 역할
민화의 기능과 역할은 그것이 필요로 했던 시대의 생활과 연관시켜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민화는 회화이면서 정통회화에 비해 생활미술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민화의 소재들은 순수감상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재의 민화라 하더라도 시대적·문화적·사상적 배경에 따라 표현방식이 다름을 알 수 있으며, 이처럼 다른 국가와 미술작품을 비교하는 것도 한국의 미적 특징을 간파하는데 유용하다.
<참고문헌>
김애경, 「비교문화관점에서의 민화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13.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재로 한 민화도 있다고 한다. 이 밖에 판소리와 관련이 없는 소설로서 민화에 자주 등장하는 것이 <구운몽>이다. 구운몽도는 병풍으로 많이 그려졌는데, 성진이 팔선녀와 만나는 석교기연(石橋奇緣)은 독립된 작품으로도 많이 그려졌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