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도차를 이용하여 물탑을 쌓게되며, 이상과 같은 놀이를 통한 과학활동으로 유아들은 첫째, 물에 녹고 안 녹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둘째, 물의 밀도에 따라 뜨고 가라앉는 성질을 알 수 있다.
8.놀이단계
(2)
탐구적
구성놀이
방 법
평가방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밀도차 때문인데, Table 1에서의 각 용액의 밀도를 살펴보면 아세톤이 제일 작은 밀도를 가지고, 그 다음으로 톨루엔, 증류수 순으로 큰 밀도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아세톤은 밀도차가 큰 증류수보다 밀도차가 비교적 작은 톨루엔을 더 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0.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를 이용하여 A=πD2/4, V=AH, ρ=질량/부피를 계산할 수 있다.
Table5.1 Al-Si의 소결전과 후의 밀도값
밀도
소결시간
시편
소결전 밀도
[g/㎤]
소결후 밀도
[g/㎤]
밀도차
450℃/1hr
Al-Si
2.249
2.237
-0.013
Al-Si+PVA
2.326
2.302
+0.024
450℃/2hr
Al-Si
2.225
2.213
-0.012
Al-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밀도차 : 어떤 물체가 액체에 뜨고 가라앉는 정도가 다른 것은 ‘밀도’ 때문이다. 부피가 똑같을 때 밀도가 높은 액체가 밀도가 낮은 액체보다 더 무겁다. 액체의 밀도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정해져 있으나, 같은 액체라도 온도에 따라 조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③ 물에 잘 녹지 않는 기체 : 질소, 산소, 수소, 공기 등
(2) 분리의 원리 : 두 기체 혼합물을 물에 통과시키면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큰 기체는 물에
녹게 되고, 용해도가 작은 기체는 거의 녹지 않으므로 분리할 수 있다.
(3) 분리의 예(암모니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