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청회에서 여러 가지 감정이 교차하였을 것이다. 어쩌면 애초에 불리한 싸움에서 패배를 예감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어쨌든 박승빈은 평생의 뜻을 이루지 못하게 되었고 역사는 승자만을 뚜렷이 기억하고 패자의 이름은 희미해져갔다. 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시경의 한나라말
URL: kkucc.konkuk.ac.kr/~hanmal/nara.htm
Last modified on: 30-May-1998 - 10K bytes - in Korean (KSC)
말은 사람과 사람의 뜻을 통하는 것이라
한 말을 쓰는 사람과 사람끼리는
그 뜻을 통하여 살기를 서로 도와줌으로
그 사람들이 절로 한 덩이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8.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시경, 이규영 등의 <말모이>원고를 인수하여 <조선어 사전>편찬에 착수함으로써 조선어연구회의 모체가 되었다.
조선어학연구회 -1931년 박승빈은 동지들을 규합하여 조선어학연구회를 만들고 조선어학회에 대항하였다. 조선어학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시경의 문법 연구
3) 김두봉의 문법 연구
4) 최현배의 문법 연구
5) 박승빈의 문법 연구
6) 비교언어학적 연구
Ⅳ. 광복 이후의 한국어 문법 연구...................................p.6
1) 정열모의 문법 연구
Ⅴ. 새로운 외국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시경에서 비롯된다고 주장
다. 최남선
1) 1910년 조선광문회에서 만들어졌으며, 뜻은 '大'와 '韓'의 두 가지
2) 최초의 기록은 1913년 <아이들보이>의 '한글'欄(란)이라고 함
라. 박승빈; 최남선이 짓고 주시경이 찬동하여 '한글'이란 이름 확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