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蜜服,取汗。)
조협은 상한병 초기 시작에 불달구어 붉은 물을 복용하여 땀을 낸다. 간 즙과 생강 꿀과 함께 복용하여 땀을 낸다.
〔水石〕
물과 돌
百沸湯
백비탕
(多飮取汗。)
백비탕을 많이 마셔 땀을 낸다.
丹砂
단사
(傷寒時氣,始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但性主疏泄,氣虛久漱,陰虛喘逆,脾虛便滑者,皆不可用。
단지 소자의 약성이 주로 소설하니 기가 허하며 오래 기침하며 음허로 숨차고 상역하며 비허로 변이 활설하면 모두 사용치 말라. 택란 마란 향유 작상 형개 자소 소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명 정풍초이다.
明亮堅實者佳,濕紙包熟,切片,酒浸一宿焙用。
밝고 단단하고 실한 천마가 좋고, 습지에 싸서 구워 익혀서 절편을 하며 술로 하룻밤 담가서 약한 불로 사용한다. 자소
박하
계소
목적
부평
창이자
천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하사탕』, 서울:삼인, 2003, P181~182
80~90년대 한국사를 전체적으로 재조명하는 것이나 광주사건의 폐해가 입힌 개인적이자 사회적인 트라우마를 역설하는 것은 애초부터 감독의 목적이 아니었다. 감독은 한 개인의 인생이 그릇된 선택과 생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유했던 남성의 특권을 버릴 만큼의 용기는 없는 한국 남성의 현주소가 아닌가 한다. <박하사탕>과 <파이란>에서는 악한 남자가 자신의 선했던 과거를 찾아가는 여정을 보여줌으로써, 잃어버린 과거를 회상시켜 향수정서를 자극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