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상영부터 무성영화흥행기까지
2. [1919-1935] 한국영화의 초창기
1) 연쇄극의 등장- <의리적 구투>
2) 최초의 한국영화- <월하의 맹세>
3) 나운규와 <아리랑>
3. [1935~1945] 발성영화 등장과 일제암흑기
4. [1945~1950] 해방과 전쟁기 영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화계에서는 발성 영화가 도입
(5) 수필의 이론적 탐구
: 수필이 하나의 독립된 문학 갈래로 인식되고 전문적인 수필가가 등장한 시기
김진섭 「인생 예찬」「백설부」, 이양하「신록예찬」, 이상「권태」
(6) 암흑기에 대한 대응 양상
: 일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화산업의 위기,위축. 자율성의 파괴. 한국영화의 암흑기
· 1960년대 – 불안정하고 무엇인가 터질듯했던 사회 분위기. 오락으로써의 영화 발달.
1958년~1964년 : 한국영화 중흥기
· 1970년대 – TV의 등장. 한글세대의 등장 ->영화 침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제에 억눌리고 있었던 민족의 울분을 영화로 대신 승화시킨 점이다. 그리고 한국영화에 본격적인 작가, 감독, 배우의 위치를 인식 시켜준 점등 들 수 있다.
이어서 193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한국영화에도 발성영화가 등장하게 된다. 최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화의 걸음마(1919~1926)
■ 조선영화의 본격적 전개(1926~1935)
■ 카프 영화운동의 논리와 실천
■ 무성영화 후기의 조선영화산업과 영화작품
■ 무성영화 후기 영화검열, 사건, 산업(1926~1935)
■ 발성영화와 친일영화(1935~1945)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5.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