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운론』, 서울: 학문사, 2005.
김동훈, 『한국어의 역사적 음운 변화』, 서울: 박문사, 2012. 1. 서론
2. 표기와 발음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
2.1 표기와 발음의 차이 예시
2.2 표기와 발음을 일치시켰을 때의 문제점
3. 결론
4.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법은 언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면서도, 한 언어의 역사성과 체계를 보존하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한국어어문규범 - 표기와 발음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표기와 발음을 일치시켰을 때의 문제점에 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5.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음이 되지 않는 자음을 탈락시킨 경우이다.
그런데 (68)과 (71)의 예는 지금까지 설명과는 다른 설명이 필요한 경우이다. 먼저 (68)은 연철 표기로 설명해야 하는 경우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류이기보다는 실수라고 보아야 한다. 즉 실수로 ‘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때 종성에 표기될 수 있는 자음은 /ㄸ, ㅃ, ㅉ/을 제외한 16개이나, 이들 자음 중 많은 것이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글자로 볼 때는 16개 자음이 사용되나, 발음으로 나타나는 자음은 아래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ㄱ, ㄴ,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때문에 이러한 불어의 영어식 표기가 나타나는 것이라고 본다.
또한, 영어식 발음 표기의 대표적인 예는 불어의 음소 /p/, /t/, /k/를 각각 /쁘/, /뜨/, /끄/ 가 아닌 /프/, /트/, /크/로 표기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Dupont : 듀퐁
au bon pai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