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언(원주지역어)
2. 원주권 방언
3. 영서(嶺西) 방언
제 5 절 음운체계(音韻體系)
1. 자음체계(子音體系)
2. 모음체계(母音體系)
제 6 절 음운(音韻) 현상
1. 경음화(硬音化)
2. 유기음화(有氣音化)
3. 구개음화(口蓋音化)
1)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5.09.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에서는 순음을 제외한 자음들이 \'ㅜ\'에 선행하면 \'ㅗ:\' 로 실현됨 \'조:(←주어), 바꼬:(←바꾸어)\'
단모음 \'y(ㅟ)\'로 끝나는 어간 뒤에 연결어미 \'-어\' 결합시 \'외:\'로 실현됨 \'`쇠:서(쉬어서)\', \'`뙤:야(뛰어야)\'
활용시의 음운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3.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의 구분>
<방언연속>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
<김민수 의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
<방언의 특성>
<방언연구의 의의>
<수집의 의의>
<공시적 측면>
<통시적(역사적) 측면>
2. 방언학의 발달
1.1 <지리언어학>
1.2<구조생성방언학>
<음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현상이다.
▣ 전라북도 방언의 합성어 형성
1. 탁하다
중부 방언의 \'친탁하다(=진탁하다)\'와 \'외탁하다\'는 모두 자동사로서 각각 \'(아이가 생김새와 성질에서) 父系를 닮다/母系를 닮다\'라는 뜻을 가진다. 중앙어의 이 세 단어에 대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형태소를 나타낼 때 그 실현되는 모든 변이형태를 표기해 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형태소 “꽃”은 ‘꽃, 1. 서론
2. 음성학
3. 음운학
4. 형태론
5. 통어론
6. 방언학
7. 의미론
8. 계통론
9. 한국어사
10. 어휘론
11. 문자론
12. 결론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3.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