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선피
一名白羊鮮
백선피는 일명 백양선이다.
苦鹹寒,無毒。
백선피는 고미와 함미와 한기로 독이 없다.
《本經》主頭風黃,咳逆淋瀝,女子陰中腫痛,濕死肌,不可屈伸,起止行步。
신농본초경에서 주로 두풍과 황달, 해역과 소변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싹은 선복화와 같고, 열매는 연밥과 유사하니 끊으면 즙이 있으니 잠시 검어진다.
熬膏良。
한련초를 졸여 고약으로 만들면 좋다. 백선피
비해
토복령
백렴
예지자
한련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선피로 보좌하니 희연으로 경축함에 가장 많은 공로가 있다.
白朮 肉桂 川芎 杏仁 芍藥 甘草 防風 當歸 各五分 茯 麻黃 獨活 各七分半 白鮮皮 二分半 薑을 煎하야 溫服이라.
백출, 육계, 천궁, 행인, 작약, 감초, 방풍, 당귀 각각 2g, 복령, 마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선피, 시호, 택란, 마황
(主風熱,赤目腫痛。)
적작약, 백급, 방풍, 강활, 백선피, 시호, 택란, 마황은 함께 풍열로 붉은 눈과 붓고 아픔을 주치한다.
野狐絲草汁 積雪草汁 瞿麥汁 車前草汁
야호사초즙, 적설초즙, 구맥즙, 질경이즙
(點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7.06.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선피 30그램을 하루 분으로 하여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25일 동안 복용한다. 10일쯤부터 가려움증이 줄어들고 피부가 윤택해지기시작하면서 차츰 낫는다.
원형탈모증
석웅황 1그램, 파두상 0.5그램, 자초 5그램을 가루 낸 다음 백선피 10그램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