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비요 백선피 白蘚皮 비해 토복령 백렴 예지자 한련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비요 백선피 白蘚皮 비해 토복령 백렴 예지자 한련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백선피

비해

토복령

백렴

예지자

한련초

본문내용

섞는다.
蔓赤,枝有五葉,根如卵而長,三五枝同,皮烏肉白。
백렴덩굴은 적색이며 가지는 5잎이 있고 뿌리는 알과 같이 길고 3, 5가지에 같은 집이니 껍질은 검고 살은 백색이다.
一種赤,功用皆用.
한종류는 적색 백렴이니 공용은 모두 사용한다.
(鄭奠一曰能治溫血痢,腸風痔瘻,赤白帶下)。
정전일이 말하길 백렴은 온성학질과 혈리, 장풍치루, 적백대하를 치료할 수 있다.
預知子
예지자
補勞,瀉熱.
예지자는 허로를 보하며 열을 사한다.
苦寒。
예지자는 고미와 한기이다.
補五勞七傷。
예지자는 5로7상을 보한다.
治癖氣塊,天行溫疾,蛇蟲咬毒。
예지자는 현벽과 기덩어리, 유행성 온역질병, 뱀과 벌레에 물린 독을 치료한다.
殺蟲療蠱.
예지자는 살충하며 고를 치료한다.
(綴衣領中,凡遇蠱毒 고독: 고(蠱)의 독으로 생기는 위급한 병증.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에서는 고독(蠱毒)을 고독후(蠱毒候), 고토혈후(蠱吐血候), 고하혈후(蠱下血候) 등으로 구분하였다. 증상은 복잡하고 변화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병세가 심하다. 고독은 위급병증(危急病證), 양충병(恙蟲病), 급만성혈흡충병(急慢性血吸蟲病), 중증간염(重症肝炎), 간경화(肝硬化), 중증균리(重症菌痢), 아메바성 이질 등의 병에서 그 증세를 볼 수 있다.
,則聞其聲而預知之,故名).
의복 옷깃속에 꿰매면 고독을 만나면 소리를 들으면 미리 알기 때문에 예지자라고 이름하였다.
利便催生。
예지자는 변을 잘 나가게 하며 출산을 재촉한다.
藤生,子如角,褐色光潤。
예지자의 덩굴이 생기면 씨는 조각과 같으며 갈색으로 광채나며 윤기난다.
出蜀中,云亦難得。
예지자는 촉중에서 산출되니 또한 얻기 어렵다고 한다.
旱蓮草
한련초
一名鯉腸,又名金陵草 補腎.
한련초는 일명 이장, 또한 금릉초라고 이름한다. 신을 보한다.
甘鹹,汁黑。
한련초는 감미와 함미로, 즙은 검은색이다.
補腎止血,黑髮烏.
한련초는 신을 보하며 지혈하며 모발을 흑색으로 살적을 검게 한다.
(《千金》云當及時多收,其效甚速。)
천금방에서 말하길 당시에 많이 한련초를 거두니 효과가 더욱 빨랐다.
(《經疏》云性不益脾胃,故《千金方》金陵煎丸用薑汁和劑)。
신농본초경소에서 말하길 한련초의 약성은 차고 비위를 더하지 않으므로 천금방 금릉전환은 생강즙을 사용하여 섞어 약제를 만들었다.
苗如旋覆,實似蓮房,斷之有汁,須臾而黑。
한련초 싹은 선복화와 같고, 열매는 연밥과 유사하니 끊으면 즙이 있으니 잠시 검어진다.
熬膏良。
한련초를 졸여 고약으로 만들면 좋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6.24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9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