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비요 백편두白扁豆 담두시 도두 호마 의이인 대마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비요 백편두白扁豆 담두시 도두 호마 의이인 대마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백편두 담두시 도두 호마 의이인 대마인

본문내용

된다.
(薏苡理脾,而兼熱補肺,筋寒則急,熱則縮,濕則縱。)
의이인은 비를 다스리며 청열하면서 폐를 보하며 근육이 차면 급하며 열하면 수축하며 습하면 늘어진다.
(然寒濕久留,亦變爲熱。)
한습이 오래 머무르면 또한 변하여 열이 된다.
(又有熱氣熏蒸,水液不行,久而成濕者。)
또한 열기가 훈증하여 수액이 운행하지 못하고 오래되어 습이 생성한다.
(薏苡去濕要藥,因寒因熱,皆可用也。)
의이인은 습을 제거하는 중요한 약으로 한성에 기인함과 열증에 원인함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衍義》云因寒筋急者不可用,恐不然)。
본초연의에서 말하길 한증에 기인하여 근육이 급하면 의이인을 사용할 수 없으니 그렇지 않을까 염려된다.
但其力和緩,用之須倍於他藥。
단지 의이인의 힘이 완화되니 사용하면 다른 약에 배가 된다.
殺蛔墮胎,炒熟微。
회충을 죽이며 태아를 유산케 하며, 볶아서 익히고 약간 간다.
大麻仁
대마인
大麻 大麻는 원문에는 없다.
,作布之麻,俗作火麻 潤燥滑腸.
대마는 베를 만드는 마이며 속칭 화마라고 하며, 건조를 윤택케 하며 장을 윤활케 한다.
甘平滑利。
대마인은 감미와 평기로 윤활하고 이롭다.
脾、胃、大腸之藥,緩脾潤燥。
대마인은 비, 위, 대장의 약이며 비를 느슨하게 하며 건조를 윤택케 한다.
治陽明病、胃熱汗多而便難.
대마인은 양명병으로 위열과 땀이 많고 대변보기 어려워함을 치료한다.
(三者皆燥也,汗出愈多,則津枯而大便愈燥。張仲景治脾約有麻仁丸。)
3가지는 모두 건조하니 땀이 나면 나음이 많으니 진액이 마르면 대변이 더욱 건조해진다. 장중경은 비약증을 치료함에 마인환을 사용하였다.
(成無己曰脾欲緩,急食甘以緩之,麻仁之甘,以緩脾潤燥。)
성무기가 말하길 비는 느슨하고자 하니 급하게 감미를 먹어서 느슨하게 하니 마자인의 감미는 비를 느슨하고 건조를 윤택케 한다.
(張子和曰諸燥皆三陽病).
장자화가 말하길 여러 건조는 모두 삼양병이라고 했다.
破積血,利小便,通乳催生。
대마인은 적혈을 깨며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젖을 통하게 하며 출생을 재촉한다.
又木穀也,亦能治風。
대마인은 또한 목곡이며 또한 풍사를 치료한다.
極難去殼,帛置沸湯,待冷,懸井中一夜,乾,就新瓦上 (주무를 뇌; -총10획; ruo,rua)
去殼,搗用。
지극히 껍질을 제거하기 어려우니 비단을 싸고 끓는 탕에 두며 식기를 기다려서 우물에 하룻밤 매달아 햇볕에 말려서 새로운 기와 위에 주물러서 껍질을 제거하며 찧어서 사용한다.
畏茯、白薇、牡蠣。
대마인은 복령, 백미, 모려와 상외한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7.10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46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