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薑 蜜服,取汗。)
조협은 상한병 초기 시작에 불달구어 붉은 물을 복용하여 땀을 낸다. 간 즙과 생강 꿀과 함께 복용하여 땀을 낸다.
〔水石〕
물과 돌
百沸湯
백비탕
(多飮取汗。)
백비탕을 많이 마셔 땀을 낸다.
丹砂
단사
(傷寒時氣,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지, 창출, 진피, 세신, 석창포, 후박, 반하, 목통, 자소엽, 매운 육계, 감초 각각 2.8g이다.
右作一貼 入薑三片 連鬚白二莖 煎服(入門).
위 약재를 썰어서 1첩을 만들고 생강 3조각을 넣고 수염을 남긴 총백 2줄기를 달여 복용한다.(의학입문)
【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신, 신이와 함께 치료한다.
目淚出,面.
눈이 가렵고 눈물이 남과 얼굴 기미를 치료한다.
(干去聲,面黑氣)
간은 거성이며 안면의 흑색 기이다.
瘢疵(可作面脂).
백지는 반자를 치료한다. 얼굴 화장품으로 만들 수 있다.
皮膚燥,三經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출혈
寒水石、瀝等分。
한수석 역청 같은 분량이다.
(爲末。幹,勿經水。《積德堂方》)
위 약재를 가루내어 건조하게 가루로 치고 물을 경유치 않게 한다. 적덕당방
刀瘡傷濕
칼 종기로 습에 손상함
(潰爛不生肌寒水石 一兩,黃丹二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출, 백출은 참새고기, 청어, 배추, 복숭아, 오얏을 꺼린다.
薄荷
(忌鱉肉。)
박하는 자라고기를 꺼린다.
麥門冬
(忌魚。)
맥문동은 붕어를 꺼린다.
常山
(忌生蔥、生菜。)
상산은 생파, 생채를 꺼린다.
附子、烏頭、天雄
(忌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