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문으로 말미암아 생겨난 俗講 또는 설화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2) 전기의 작가와 작품
<柳毅傳>을 쓴 李朝戚, <枕中記>, <任氏傳>을 쓴 沈旣濟 등이 있는데 이들 작품의 내용을 보면 지괴의 뒤를 이은 신괴류의 고사를 주제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문(變文) 또는 속강(俗講)으로부터 발전한 것이라 보아야만 할 것이다. 이 시대에 유행한 강창의 종류만 보더라도 설화(說話), 고자사(鼓子詞), 복잠, 제궁조(諸宮調), 애사(涯詞), 도진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 이러한 강창들은 후세에까지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8.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문의 영향을 받은 설창문학, 체제가 방대하고 곡조가 풍부하여 원 잡극 형성에 지대한 영향
3) 복잠(창잠) : 오자목의『몽량록』주밀의『무림구사』를 통해 확실한 형태를 알 수 없으나 매우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4) 도진, 애사, 설화 등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