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침입하는 부후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리기다 초 록
LIST OF FIGURES
LIST OF TABLES
Ⅰ. 서 론
Ⅱ. 변색부위 침입균의 분리, 동정 및 특성
2.1 연 구 사
2.1.1
|
- 페이지 10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1.07.21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균을 분리 동정
코흐의 원칙에 따른 시험단계(병원체의 동정)
①병원체는 반드시 병든 식물에 존재하여야 한다.
②병원체는 분리되어 인공배지에서 순수 배양되거나 혹은 감수성 기주식물에서 생장하여야 한다.
③순수배양에서 분리한 병원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4.06.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균(Vibrio parahaemolyticus)의 독소에 관하여, 동의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 김정완(2006), 인천·경기 해안지역의 장염비브리오균 모니터링, 인천대학교
◇ 류승희 외 3명(2010), 시판 어패류에서 분리한 장염 비브리오균의 항생제 감수성 특성, 한국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균이나 장관 이외에 담도, 요로, 호흡기 등에 대장균이 국소성으로 침입한 경우에는 병원선을 발휘한다. 그러나 최근 요로감염증을 일으키는 대장균은 요로계 세포에 부착할 수 있는 특별한 병원인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져, 다른 부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침입이 억제된다.
ipa유전자 생산물 외에 virF(원거리 플라스미드좌)는 ipaA-D의 양성조절자인 유전자 산물을 기억하고 있다.
참고문헌
◈ 고석현 외 7명, 먹는 물에서 분리한 대장균군의 항생제 내성 조사, 보건환경연구원, 2010
◈ 문경래 외 8명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