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장하진 않는다. 따라서 세대 시간의 오차는 생길 수 밖에 없다.
O.D값만으로 균수를 예상할 수 있을까?
가능하다. 600nm파장에서의 1O.D 값은 0.8 x 109 cells/ml이므로, 2조의 2hr에서의 O.D값으로 예측해보면 0.1088 x 109cells/ml 임을 알 수 있다.
8. 참고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테리아 생장곡선
2. 실험 목적
3. 원리 및 이론
1. 생장이란?
2. 사멸이란?
(1) 멸균
(2) 멸균법의 종류
3. 미생물의 생장과 증식
(1) 집단 생장
(2) 동기생장
(3)생장곡선
<패쇄 환경에서의 미생물 세포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3.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장곡선을 그릴 수 있다. 또한 시간별로 overlay하면 Cell counting을 통해 시간이 지날 수 록 배양된 균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Bacillus균, Enterococus균, E.coli균 10, 10희석액을 흡광도 측정과 셀카운팅에 사용하였는데 10, 1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장곡선
3. 실험 도구
LB medium, E.coli BL21균주, 삼각 플라스크, clean bench, 알코올램프 등
4. 실험방법
1. 멸균한 배지(48ml)를 clean bench에서 이미 키워진 E.coli BL21 균주(8ml)를 접종한다.
2. 접종한 균주는 37℃ shaking incubator에서 200rpm으로 shaking 해주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장곡선
2.4 흡광도
2.5 기타 실험 과정에 필요한 내용
6
3. 실험 방법
3.1 실험준비
3.1.1 실험기구
3.1.2 Reagent
3.1.3 Glucose Kit
3.1.4 Media for bacterial culture
3.2 실험과정
3.2.1 Standard c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04.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