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상점: 총광합성량과 호흡량이 같을 때
포화점: 광합성량이 최대로 되기 시작할 때
총광합성량은 포화점에 이르기까지는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증가 광합성 장소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광합성 반응
광합성의 전체 반응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5.12.2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되어 겉보기에는 산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흡수방출이 전혀 없을 때의 빛의 강도를 보상점이라고 한다. 보상점이 낮은 식물일수록 약한 빛을 잘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값은 식물의 광합성작용에서 약한 빛의 이용 정도를 나타 내는 척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C4식물의 이러한 차이는 광호흡을 줄여줘 광합성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보통 C3식물의 CO2 보상점은 40~100 ppm이지만, 고온이 되면 상승하여 보상점이 대기 중의 CO2농도(350 ppm)에 가까워진다. 이 때문에 고온에서 C3식물은 성장 속도가 제한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밀)
46∼63(옥수수)
50(수수)
광호흡(photorespiration)
존재함
없음
보상점 (C.P., CO2)
매우 높다(50 ppm)
낮다(1∼10 ppm)
bundle-sheath 구조
only mesophyl 엽록체
특성화된 엽육세포+m. 엽록체
대표 작물
대부분의 목초, 보리, 밀
벼, 옥수수, 수단그라스
물의 이용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상점이라고 한다. CO2 보상점에 도달한 이후로 CO2의 동화 수치는 가파르게 증가하다가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완만해지는데 C4 식물보다 C3 식물이 더 완만하게 CO2 동화수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3.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