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작과비평사, 1992, 224~229쪽.
8. 동북항일연군의 마지막
동북항일연군은 보천보 이후 대탄압 속에서도 제2ㆍ3방면군은 함경북도 무산 진입전투, 안도현 대사하전투, 악명 높던 전전토벌대 120여명을 궤멸시킨 화룡현 홍기하 전투 등을 전개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천보 홰불”
- 1962.9.10. “빛나는 우리조국”
- 1964.9.10. “압록강반의 새노래”
- 1970.6.2. 평양시내 5천명 어린이 집단체조 “세상에 부럼없어요”
- 1970.11.9. 조선노동당 제5차대회 “노동당의 기치따라”
- 1974.9.10. 공화국창건 26돐 기념 “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 동북항일연군과 조국 광복회의 편성
1) 동북항일연군의 편성
2) 조국광복회의 편성
3. 동북항일연군 제2군의 항일무장투쟁
1) 보천보 점령 전투
2) 간산봉 전투
4. 동북항일연군의 시베리아 이동
5. 의의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천보 전투[普天堡戰鬪]
당시 백두산 일대 조선과 중국 간의 국경지역인 장백을 중심으로 항일투쟁활동을 벌이던 동북항일연군 제1군 제6사는 백두산지구 유격구를 건설하고, 박달·박금철 등이 이끄는 갑산군 내 ‘조국광복회’소속 조직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천보 전투 논란
북조선에서는 '보천보 전투'를 지난 50여년 동안 김일성의 항일업적을 찬양하기 위한 중요한 선전 자료로 이용해 왔다. 북조선의 중학교 교과서는 "김일성이 1937년 3월 서강(西崗)에서 조선인민혁명군 군정간부회의를 열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