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
虛則汗後之不足.
허맥은 발한 사하한 뒤에 부족함이다.
、濕也.
삽맥은 습증이다.
與上篇小異而大同.
위 편과 조금 다르나 크게 같다.
桂枝附子湯者,上篇之甘草附子湯,以薑棗易朮之變制也.
계지부자탕은 위 편의 감초부자탕에서 생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복맥탕)은 허로 부족하여 땀을 흘리고 답답하며, 맥이 일정하지 않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고친다.감초(炙), 생지황 각 4g, 생강, 1g, 인삼, 아교 각 2g, 계지, 마인 각 3g, 맥문동 6g, 대 추 5g
用地黃。
또한 장중경의 상한론의 113처방에서는 복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교이전 강삼편 조이매 주칠분 수일잔삼분으로 전지삼분하여 복이라.
구감초탕은 감초12g, 인삼 9g, 생지황 계지 마자인 맥문동 각각 10g, 아교 8g, 생강 3조각, 대추 2매와 술 3g, 물 1잔 3푼을 3분을 달이게 달여 복용한다.
方意는 以脈이 代結者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지모, 패모, 생지황, 아교, 천궁, 상백피, 백급, 백지, 감초 각각2g, 사간, 길경, 천문동, 박하, 행인, 반하, 자소엽, 방풍 각각 3g, 생강 7조각, 오매 1개를 물에 달여 복용한다.
治肺癰의 有膿하야 腥氣上衝 嘔吐咳嗽니라.
소농음은 폐옹에 농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교 맥문동 행인 비파엽
양음청폐탕: 생지황 맥문동 생감초 현삼 패모 목단피 박하 백작약(초)
백합고금탕: 생지황 숙지황 맥문동 백함 백작약 당귀 패모 감초 현삼 길경
경옥고: 인삼 생지황 백복령 백밀
증액탕: 현삼 맥문동 생지황
옥액탕: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