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찬송가들
가. 찬미가(1892) - 북감리교 선교부 존스와 로스와일러 편찬 간행
나. 찬양가(1894) - 언더우드 간행
다. [찬셩시](1895) - 북장로교 선교부 그레함 리와 기포드 부인 편집 간행
라. [복음찬미](1899) - 말콤 팬위크 편, 동아기독-- 발행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복음주의 실천신학회.「복음주의 예배학」서울: 요단출판사, 2001.
서민우. “한국 교회 예배 음악의 현황과 개선 방향” 실천신학전공논문,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임성덕. “한국예배에서 본 찬송가와 복음성가” 목회학석사논문, 안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것, 성도는 다 하나님 앞에서 제사장이라는 것, 신앙생활의 최고 권위는 성서라는 것 등을 세가지 기둥으로 진전되어 왔다.11) 따라서 독일의 초기 찬송가는 이 신학을 직접, 간접으로 강조하고 부연한 것이다. 문학이나 음악의 소양이 많았던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찬송가학 개론,임마누엘, 1992
김남수, 복음주의에 근거한 복음성가의 역할, 복음과 실천 17(\'94.9)
_____ , 예배와 음악,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1998
김두완, 교회 음악의 이해, 아가페 음악선교원, 1993
김미진, 음악치료학의 이해, 음악과 민족,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3,600원
- 등록일 2006.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르트”라고 일컬어진 네안더, 그리고 경건주의자들 중 가장 신비적이었던 테르스티겐 등의 찬송들을 특별히 기억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한국찬송가에는 18세기 독일 찬송이 16편 가량 실렸는데, 비경건주의적 루터교도 찬송작가인 슈몰크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