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졸여 고를 만들어 대변하혈을 치료한다고 했다.
腎主二便,但脾胃虛大便易瀉者勿服。
신은 대변과 소변을 주치하니 단지 비위가 허하며 대변이 쉽게 설사하면 복용치 말라. 지부자 구맥 왕불류행 정력 차전자 마편초 광명초 예장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초즙, 적설초즙, 구맥즙, 질경이즙
(點赤目。葉亦貼之。)
야호사초즙, 적설초즙, 구맥즙, 차전초즙은 함께 충혈된 눈에 점안하고 잎 또한 붙인다.
千里及汁
천리와 그 즙
(點爛弦風眼。)
천리즙은 난현풍 눈에 점안한다.
五味子
오미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7.06.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추; 鳥-총20획; qiu)
靈壽木)
부로 독추 영수목
鬼鳥(姑獲鳥 鬼車鳥)
귀조 고획조 귀거조
醴泉(瑞水名 人口中津)
예천 서수명 인구중진
無心(薇銜 鼠麴草)
무심 미함 서국초
朝開暮落花(木槿 狗溺臺)
조개모락화 목근 구닉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07.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초약과 혼잡할 수 없으니, 인삼, 백출, 감초와 같은 무리는 모두 의당치 않다.
昔人有以六味丸加參而服,下咽少頃輒作迷迷不爽;
예전 사람이 육미환에 인삼을 가미하여 복용하며 목구멍을 넘어가면 곧 문득 미미하여 상쾌하지 않음이 있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