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혹자가 맥문동, 오미자를 증량하여 공력을 평상의 배로 만들음은 금과 수가 상생하는 오묘한 사용을 얻음이니 오로지 약성에 전공하여 토론할 바가 아니다. 등심초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지황, 생지황이 있고 숙지황을 사용하지 않았다.
熟地黃乃唐以後製法,以之加入溫補腎經中藥頗爲得宜。
숙지황은 당나라 이후에 법제법으로 숙지황은 신경락을 온보하는 약중에 자못 의당하게 된다.
若于湯劑及養血、血等方甚屬不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농본초경 이래로 수백천명의 의가 뿐만 아니라 기미 주치를 말함에 뜻과 맛을 찾을 수 없었다.
必須爲之字箋句釋,明體辨用,而後藥性之功全。
반드시 글자 전의 구절과 해석이 분명한 몸으로 변별하여 사용된 이후에 약성의 공로가 완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凡物精華所結者,皆得天地粹之氣以成,而穢濁不正之氣不得干之,故皆有解毒之功。
만물의 정화가 결체하면 모두 천지의 맑고 순수한 기를 얻어서 생성하니 더럽고 탁한 바르지 않는 기가 간섭할 수 없으므로 모두 독을 푸는 공로가 있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뜻을 잃음이다.
(地黃功重補腎, 首烏功兼滋肝 故以治風濕.)
지황은 공능이 거듭 신을 보하며, 하수오는 공로가 간을 자양하므로 함께 풍습사를 치료할 수 있다. 生地黃
생지황
乾地黃
건지황
熟地黃
숙지황
何首烏
하수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