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뜻을 잃음이다.
(地黃功重補腎, 首烏功兼滋肝 故以治風濕.)
지황은 공능이 거듭 신을 보하며, 하수오는 공로가 간을 자양하므로 함께 풍습사를 치료할 수 있다. 生地黃
생지황
乾地黃
건지황
熟地黃
숙지황
何首烏
하수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生地黃,從無用熟地黃者。
고대 처방에는 다만 건지황, 생지황이 있고 숙지황을 사용하지 않았다.
熟地黃乃唐以後製法,以之加入溫補腎經中藥頗爲得宜。
숙지황은 당나라 이후에 법제법으로 숙지황은 신경락을 온보하는 약중에 자못 의당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http://khweb.kyunghee.ac.kr/%7Eherbal/professor/data/본초학의역사.hwp -
http://wshani.net/boncho/main003.html -개 요-
* 본초의 정의
* 본초학의 의미
* 본초의 기원
* 우리나라와 중국의 본초학의 발달 과정
* 본초학 서적
* 대표적인 본초 약제
*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b.kyunghee.ac.kr/%7Eherbal/professor/data/본초학의역사.hwp -
http://wshani.net/boncho/main003.html -개 요-
* 본초의 정의
* 본초학의 의미
* 본초의 기원
* 우리나라와 중국의 본초학의 발달 과정
* 본초학 서적
* 대표적인 본초 약제
*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혹자가 맥문동, 오미자를 증량하여 공력을 평상의 배로 만들음은 금과 수가 상생하는 오묘한 사용을 얻음이니 오로지 약성에 전공하여 토론할 바가 아니다. 등심초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