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補也;除痰癖塊,破也,不同如此。)
왕호고가 말하길 본초경에서 목향은 기가 용렬하며 기가 부족함에 보함을 주로 한다. 막힘을 통하며 기를 인도하니 깨는 것이다. 태아를 편안케 하며 비위를 건장케 함은 보함이다. 담, 벽징과 덩어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황과채는 결체된 기를 소통케 한다.
〔果木〕
과목
杏仁
행인
(下結氣,同桂枝、橘皮、訶黎勒 丸服。)
행인은 결기를 내린다. 행인은 계지, 귤피, 가리륵과 함께 환제로 복용한다.
靑橘皮
청귤피
(疏肝 散滯,同茴香、甘草 末服。)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향은 곽란 전근에 가루내어 술로 복용한다.
香附子
향부자
附子
부자
(亂吐下,爲末四錢,鹽半錢,水煎服;小兒吐瀉,小便白,熟附子、白石脂、龍骨丸服。)
곽란 구토 하리에 16g가루내어 소금 2g으로 물에 달여 복용한다. 소아의 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대 문장에서 본초책은 창출, 백출을 구분하지 않다가 도은군(도홍경)이 양쪽 종류로 말함이 있어서 비로소 각자 베풀어 사용되었다. 丹參
단삼
元參
원삼
白朮
백출
蒼朮
창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香附로 行氣요,
비인은 다습담이니 의이진탕에 가창출하야 조습하고 향부로 행기요.
살찐 사람은 습담이 많으니 이진탕에 창출을 가미하여 습사를 건조케 하고 향부자로 기를 운행케 한다.
瘦人은 多火하니, 宜二陳湯에 加黃連하야 淸熱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