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봉오동전투,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회, 1993
◎ 한시준, 윤봉길의사의 홍구공원의거에 대한 중국신문의 보도, 문화체육관광부, 2009
◎ 한시준, 이봉창 의사의 일왕저격의거, 한국역사연구회, 2001 Ⅰ. 서론
Ⅱ. 독립군부대의 의거(봉오동전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오히려 이후 일본은 이를 빌미로 간도참변을 일으켜 수많은 우리 양민들이 일본군의 총칼에 잔인하게 죽였다. 그래서 자칭 냉정한 사람들은 봉오동 전투를 폄하한다. 그런데 문제는 그런 논리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대개 가장 먼저 친일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투중 가장 빛나는 전투가 봉오동대첩(1920.6.7)과 청산리대첩(1920.10.21-10.26)이었다. 이 전투는 우리민족이 일본군을 상대로 최초로 맛본 승리였다. 이로써 일제치하의 시간동안 한번도 강력한 대응을 해보지 못한 우리 민족에게는 맺힌 한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봉오동전투이다.
상해 임시정부 군무부는 봉오동전투에서의 독립군측의 전과를 일본군 사살 157명, 중상 200여 명, 경상 100명으로, 반면에 독립군측 피해는 전사 4명 중상 2명에 불과한 것으로 발표했다.
(2) 靑山里戰爭
1920년 10월 간도출병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투에 있어 죽고이기는 것은 병가지상사라고 할 수 있다. 독립군으로서 자신의 생명을 다할 때까지 조국을 일제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한 싸움은 실로 위대할 수밖에 없다.
영화는 홍범도의 전략이나, 전술을 통해서 봉오동 전투를 보여준 것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0.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