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산 지방
북간도 서간도 지방 이외에 1910년대 만주지역에서 독립운동기지 건설이 추진된 곳은 북만주 소만국경의 밀산부 지방을 들 수 있다. 북만주 밀산의 독립운동기지 건설은 헤이그 밀사 사건 이후 블라디보스토크로 간 이상설과 그 곳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방순회, 평남 대보산 송태산장에 은거
1937 동우회 사건으로 피체, 서대문형무소 수감, 지병으로 보석
1938.3.10 경성제국대학 부속병원에서 서거,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
1962 건국 공로훈장 추서
1973 도산공원으로 이장 I.서론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913년에는 이승희와 이상설의 후원으로 이갑(李甲)을 교장으로 하는 밀산무관학교(密山武官學校)가 밀산부 봉밀산자에 설립되어 민족인재와 독립군양성에 기여하였다. 한흥동 이외에도 밀산지방 여러 곳에 한인촌이 형성되었다. 노령과 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후 북만주로 탈출하여 후진 양성에 주력하였다. 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1.무장투쟁의 성격
2.독립군의 형성
3.독립전쟁의 전개
4.독립군의 다양한 발전
결론
*주요 독립운동가 (무장투쟁을 이끌었던 지도자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만주지방에서는 1920년대 중반 경부터 한인 사회주의자들을 중심으로 사회주의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따라서 북만주지방의 한국독립군은 무장부대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한인 사회주의자들과 경쟁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셋째, 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