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에 「복무자」를 발표하면서 작가 활동 시작. 현재《4·15창작단》소속으로 확동. 단편「생명」은 '1985년도 성과작'으로 표창. 장편 『60년후』(1985), 단편 「퇴근길에서」(1985) 등 20여편의 작품을 발표.(이명재 편,『북한문학사 전』 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4.
2. 김문환 편, 『북한의 예술』, 을유문화사, 1990.
3. 신형기, 『북한소설의 이해』, 실천문학사, 1996.
4. 한중모 등, 『주체의 문예이론의 기본』, 평양: 문예출판사, 1992.
5. 문화관광부, 『북한식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도 우리와 같은 한민족인 것이다. ☐머리말
☐ 북한문학사에서의 판소리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태도
☐ <춘향전>에 대한 북한에서의 가치 평가
Ⅰ. 북한<춘향전>에 대한 이해와 수용자세
Ⅱ. <춘향전>윤색의 특성
1.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4.
2. 김문환 편, 『북한의 예술』, 을유문화사, 1990.
3. 신형기, 『북한소설의 이해』, 실천문학사, 1996.
4. 한중모 등, 『주체의 문예이론의 기본』, 평양: 문예출판사, 1992.
5. 문화관광부, 『북한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7.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문화예술 자체가 정치·사회적인 배경으로부터 출발한다는 현실을 인식하고 그 근본원리를 이해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1. 김춘택, 「우리나라 고전 소설사」 한길사, 1993
2. 박태상, 「북한 문학의 현상, 깊은샘」 1999
3. 김춘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10.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