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주민의 옷차림이나 머리 모양새 변화의 결정적인 계기
ο 전보다 더욱더 색상과 디자인이 다양해짐
ο 시대변화에 맞추어 멋을 표현하는 2차적 기능도 인정하기 시작
▼ 1990년대~2000년대
ο 서구유행이 일부 유입됨 (청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5.05.2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의복문화에 있어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현재 쌀지원을 중심으로 대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북한의 의복 실태를 간접적으로 알고 나니 옷이나 신발 등의 지원도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램이 생겼다. 북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의복의 시대적 특징과 변화
50년대 - 남 : 노동복, 인민복
여 : 검정치마, 흰 저고리
60년대까지 작업복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함
70년대 - 화려한 색상 등장 1 북한 의복의 시대적 특징과 변화
2 탈북자와의 인터뷰
3 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옷차림도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캐주얼한 옷차림(티셔츠나 청바지와 같은 것)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고, 짧은 치마의 경우라도 무릎 위까지 올라가는 경우는 드물다. 북한주민들의 옷차림이 1980년대 들어 주로 평양 등 대도시 주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어휘정리사업으로 달라진 어휘-
조선옷(한복) 큰물(홍수) 단묵(젤리) 솔솔이(스프레이) 무른고약(연고) 불면불휴(끊임없는) 일본새(능력) 겨울나이(월동) 키나무(교목) 손기척(노크)
얼마 전 뉴스를 통해 북한 경수로 협력단과 수행했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