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외래어
민족어의 주체적 입장에서 외래어를 고유어로 다듬는 과정에서 남북한의 차이가 생겼다. 북한에서도 외래어를 무조건 배격하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북한의 외래어 표기법은 소련을 위주로 하고 있다.
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휘론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하치근(1993). 『남북한 문법 비교연구』. 한국문화사.
허동진(1998). 『조선어학사』. 한글학회.
국어연구소(1985). 『한자·외래어 사용 실태조사1』. 서울.
국어연구소(1986). 『외래어표기법 용례집(지명·인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휘론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81년)
전문용어 정리와 표준화 추진 방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김진용 등 2003년)
우리나라에서의 어휘정리 (박상훈, 리근영, 고신숙 사회과학출판사 1986년) 들어가기
남북한 생물학 용어 실태
생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5.07.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 경제력 비교연구,\" 통일연구논총, 제2권 제2호, 1993.
남궁영, \"북한의 노동정책과 노동력 평가,\" 민족통일연구원, 1996. 12.
박진, \"남북한 경제통합시의 경제·사회 안정화 대책,\" 한국개발연구원, 1996. 6.
배진영, \"통일이 동서독의 산업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7.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을 탐탁지 않게 여기기 때문에 북한은 전쟁을 일으킨다면 북한은 100% 패배한다. 그러므로 북한과의 군사력 비교는 무의미 하다고 볼 수 있다. 어쩌면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남북한 군사력 비교하여 대비책을 세우기보단 동북아에 강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8.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