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꿈
-사회주의 건설의 완수를 위해 평양 중심의 문화어로 바꾸는 계획을 세움 생각해보기
제 1장. 동질적인 한국어 회복을 위한 필요성
제 2장. 북한 언어 정책의 바탕
제 3장. 주체 언어 이론의 특징
제 4장. 북한의 언어 정책 기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7.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노동당의 언어 정책은 언어가 혁명과 건설의 힘 있는 무기라는 유물론 적
언어관에 근거하여 설정된 것이며, 최근에 와서는 김일성의 주체언어이론이 그것을 직접 뒷받
침하고 있다. 북한의 주체언어이론이라는 것은 따지고 보면 남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0.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언어정책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긍정적 측면
*외래어를 주체적인 입장에서 수용, 불필요한 외래어 남용을 방지했다는 점에서 의의.
부정적 측면
*첫째, 우리말을 바꾸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림.
-아직도 말 다듬기 대상 어휘들을 우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은 정치성과 사상성이 강한 주체 언어이론을 내세우고 있다. 당과 수령이 강력한 힘을 가지고 언어정책을 총괄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민대중을 하나의 전일적인 사상과 주체적인 언어체계로 결속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겠으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의 주체사상
Ⅲ.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의 특징
Ⅳ.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의 정책변화
Ⅴ.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의 문법과 문체
1. 문법
2. 문체
Ⅵ. 북한언어(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