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원자력
★ 핵 개발사
♦ 1955.4: 원자 및 핵 물리연구소 설립
♦ 1956.3: 조소협정체결, 드브나 핵연구소에 30여명 과학자 파견 훈련
♦ 1959.9: 조중 원자력 협정 체결
♦ 1962 : 영변과 박천에 원자력연구 설립, 2MW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6.1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과 IAEA
- 북한은 74년 IAEA가입, 85년 NPT가입→ 93년 IAEA의 특별핵사찰 요구한데 대해 NPT 및 IAEA의 탈퇴를 선언.
- 94년 미국과 경수형원자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IAEA탈퇴 문제는 해소. NPT는 93년 3월 탈퇴
- IAEA나 NPT 탈퇴에 대한 법적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핵을 저지하기 위해 결성한 한미일중러 5개국 간의 임시협력체제(ad-hoc cooperative system)를 동북아지역의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정기적인 협력체제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이제 핵문제는 남한과 북한만의 문제, 미국과 북한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8.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간 경수로 공급협정이 체결되어 북한은 가시적인 실리를 확보하게 되었다.
북한은 국제원자력 기구(IAEA)의 임시 및 일반사찰 수용을 발표하고서도 아직까지 미신고 시설에 대한 사찰과 5Mw원자로 운전기록의 제출, 시료 채취, 연료봉 측정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핵 개발과 통제 사례 비교”, 권정수, 2006
"탈냉전시대의 핵 확산 가능성과 한국의 핵정책" 채정민, 2004
-참고사이트-
한국수력원자력 http://khnp.co.kr/
외교통상부 http://www.mofat.go.kr Ⅰ. 서론
Ⅱ.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핵확산금지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