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연해주 고려인 분석
Ⅰ. 서론
Ⅱ. 북러(러시아와 북한)의 관계회복
Ⅲ. 북러(러시아와 북한)의 북한핵개발논의
1. 켈리의 방북과 농축우라늄(HEU)을 통한 핵개발 의혹
2. KEDO의 대북 중유공급 중단과 제네바 합의이행 여부
3. 영변 핵시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핵화, 북한의 모든 핵무기 및 핵 프로그램의 포기와 이른 시일 내에 NPT 및 국제 원자력기구(IAEA) 안전협정에 복귀, 대북 경수로 제공문제는 적절한 시기에 논의
- 미국은 핵 또는 재래식 무기로 북한을 공격 또는 침략할 의사가 없음을 재확인,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3.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핵문제 대두된 1993년부터 현재까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수차례의 협상이 이어져왔다. 94년의 제네바 합의에서는 ‘북한은 핵 활동을 즉각 중지하고 관련시설을 해체하며, IAEA의 핵동결 감시활동 등에 협력을 제공하는 대신, 북한의 흑연감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핵시설들에 대한 사찰시기를 단계화하고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북한 핵시설들을 미동결시설, 미신고시설, 동결시설 등으로 분류하여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방안이다.
우선 첫 단계로 “경수로 사업의 상당 부분이 완료될 때까지”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8.07.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핵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국제공조는 중요한 대안이다.
Ⅲ 결론
현재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2단계의 종반과정이 진행되고 있지만 북한이 신고한 핵시설, 물질, 프로그램에 대한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불능화나 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