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해전압의 측정장치
3. 분해전압의 측정
0~4V 까지 0.5V 간격으로 전압을 주어 그때 의 전류 변화를 측정한다.
참고문헌
물리화학실험 (동명사)
금속공학실험 (반도출판사)
도금표면처리 (문운당)
실험 결과
V
I (1차)
I (2차)
0
0
0
0.5
0.009
0.007
1.0
0.0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용융동으로 산소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1)탄소를 환원제로 사용하거나 환원분위기하에서 주조한다.
(2)전해동을 직접 압출하는 법
등이 있다.
■ 전해제련 및 정련
● 전기분해의 원리
◆ 전해조전압
● 용융염 전해
● 전해정련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전류에 따른 특성 결과 분석에서는 표 1에서와 같이 일정 전압에 이르기 전까지는 전류가 흐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론적인 분해전압은 1.23V인데 실험 결과에 따르면 1.5V에서 물 분해가 발생한다. 이유는 실제로는 전이 저항 때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hydrogen evolution overpotential)과 산소발생과전압 (Oxizen Evolution overpotential)은 무엇인가?
※ 과전압 (Over voltage)
분해전압은 동일한 금속염 용액에 있어서도 전극의 재질, 전극면의 평활 상태, 온도, 전 류밀도 등에 의해서 다르며, 이론적인 석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0.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해로 구리를 석출 해내는 것을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어서 좋았고 전압과 전류를 눈으로 확인해 오차가 있었고 거름종이를 완전히 건조하지 못해 아쉬웠다.
7. 참고문헌
1)[네이버 지식백과] 전기분해 [electrolysis, 電氣分解] (두산백과) 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1.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