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
【 고 - 싶 + 어 - 있 】 【avoir - pp + vouloir - inf 】
한국어도 불어의 복합상과 마찬가지로 ‘피조동 + 조동사’ 의 통사적 구성으로 분석될 수 있는 것이다.
3.typologie에서 topologie로의 시각전환
전통적인 유형론에서의 한국어와 불어는 교착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05.
김진식, 『알베르 카뮈의 『적지와 왕국』연구』, 한국어불어불문학회, 1994. 1. 알베르 카뮈의 생애
2. 그의 작품세계
3. 알베르 카뮈 전집8 『적지와 왕국』
4. 「손님」
5.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1.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의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자. 한국어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여기서는 프랑스어와 비교하며 두가지만 보도록 하겠다. 우선 한국어는 원순과 평순이 뚜렷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프랑스어의 경우 각 음절을 발음하기 위해 원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어미의 분류,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서술어미, 국어 종결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어미의 오용 사례 분석
Ⅰ. 국어 어미의 분류
Ⅱ.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Ⅲ. 국어 서술어미
Ⅳ. 국어 종결어미
Ⅴ. 국어 연결어미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어(프랑스어)
음절을 개음절(syllabe ouverte)과 폐음절(syllabe fermee)로 구분한다. 개음절이란 한 음절 안에서 모음으로 끝나는 음절이고, 폐음절은 모음 뒤에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이다. 불어에서는 한국어와는 달리 음절을 구성하는 자음들이
음절구조 고대국어, 최적성이론 한국어, [음절구조, 최적성이론, 고대국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불어, 프랑스어]음절구조와 최적성이론, 음절,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