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조전랑과 붕당
이조전랑은 6조 중 하나인 이조의 정랑과 좌랑을 일컫던 말이다. 비록 관직은 낮았지만, 이들만이 관리를 천거할 수 있었다. 이조 판서도 관리 천거에 개입할 수 없었다. 여론 기관인 삼사의 관리 임명도 이들의 영향 아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5.0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랑의 천거문제와 재령지방 옥사의 처리문제를 놓고, 선배사류와 후배사류가 대립하여 각각 심의겸과 김효원을 필두로 하는 서인과 동인의 붕당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대립각은 선조 연간 격렬하게 전개되어 동인은 다시 남인과 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0.08.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붕당과 관련없는 중립적 인사로 구성되어서
c.국왕의 직할 명령으로 전랑권이 행사되어서
d.이조정랑 및 좌랑의 인사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서
11. 성리학에서는 도덕적으로 완전한 인간을 추구하는데, 이러한 인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2.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4.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