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조전랑과 붕당
이조전랑은 6조 중 하나인 이조의 정랑과 좌랑을 일컫던 말이다. 비록 관직은 낮았지만, 이들만이 관리를 천거할 수 있었다. 이조 판서도 관리 천거에 개입할 수 없었다. 여론 기관인 삼사의 관리 임명도 이들의 영향 아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5.0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들어간다. 정주성으로 퇴각한 농민군은 보급로가 끊긴 채 무려 4개월 동안 관군과 대치하다가 1812년 4월 마침내 관군에 의해 제압되었다. 이씨 왕조에 대한 전면적인 부정과 새로운 정치 제를 기치로 내걸었던 이 난은 비록 실패로 끝나긴 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붕당이라는 새로운 운영체제를 형성 정립시켰다. 사림들이 중시여기는 공론은 삼사에서 수렴을 하였고, 이런 삼사를 이끌어 가는 것이 이조전랑이었다. 때문에 조선 중기에서는 이조전랑의 권한이 대신과 견줄만 하였고, 이에 대신세력들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0.07.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붕당정치의 이념이 파행되면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자료 출처 : 『한국사』한길사, 중세사회의 해체
참고자료2
붕당정치계보
(색칠된 부분은 그 당시의 집권 또는 주도세력)
선조
동서분당(1575): 훈척계에 대한 태도와 이조전랑직 문제
서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붕당정치라는 용어를 쓰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당쟁이라면 무조건 나쁜 것이라고 여기는 일반의 인식을 바꾸어 놓기 위한 긍정론적인 입장에서 나온 것이라고 보아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런데 붕당정치라는 용어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