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기의 정치운영방식과 이조전랑의 역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조선중기의 정치운영방식
3. 이조전랑의 역할
4. 맺음말

본문내용

잡아가기 시작하여, 언권의 강화와 낭권의 형성이라는 권력의 확보를 통해 변화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 과정에서 사림은 천거제를 통해서 사림의 정치참여를 활성화 하였고, 나아가 공론정치를 통해 중앙과 지방의 사림과 중, 하급관리들을 정치참여층으로 등장시켜 정치 모집단을 넓혀갔다. 이러한 정치참여층의 확대와 권력구조의 변동은 새로운 정국의 운영방식을 요구하였다. 이에 기득권 세력이 반발하여 거듭 사화를 일으켰고, 권신의 출현이라는 파행적인 정치운영방식을 야기하였다. 그러나 사림의 노력으로 선조대에는 공론정치에 근거하여 정국을 운영하는 붕당이라는 새로운 운영체제를 형성 정립시켰다. 사림들이 중시여기는 공론은 삼사에서 수렴을 하였고, 이런 삼사를 이끌어 가는 것이 이조전랑이었다. 때문에 조선 중기에서는 이조전랑의 권한이 대신과 견줄만 하였고, 이에 대신세력들을 견제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림들의 공론의 의한 붕당정치는 그 이전 시기의 정치문제를 해소하면서 한 단계 진전된 정치임은 부인 할 수 없다. 특히 훈구와의 대결국면에서 민의 의사도 공론으로 수용하는 개혁적인 면모도 보이는 등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정치운영 방식의 변동과정에서 야기된 희생으로 파악되는 士禍나 변동의 귀결이었던 朋黨에 대해서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조선조 사림정치의 권력구조』, 송찬식, 1978, 경제사학회
『조선전기 사림의 전랑직 진출과 그 역할』, 김우기, 1986, 대구사학회
『전랑과 삼사의 관계에서 본 16세기 권력구조』,김우기, 1990, 역사교육회
『조선시대의 부정부패 어떻게 막았을까』,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7.17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42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