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림세력의 성장기반
1) 사림의 경제적 기반
2) 사림의 사회적 기반
3) 사림의 교육과 학통
2. 사림세력의 진출과 사화
1) 사림의 중앙진출
2) 훈구세력과의 갈등
3) 무오사화․갑자사화․기묘사화․을사사화
3. 사림세력 구성의 특징
1) 학파의 형성
2) 향당적 색채
3) 사림의 성향과 특징
4) 문묘배향운동
5) 절의사상의 고취
1) 사림의 경제적 기반
2) 사림의 사회적 기반
3) 사림의 교육과 학통
2. 사림세력의 진출과 사화
1) 사림의 중앙진출
2) 훈구세력과의 갈등
3) 무오사화․갑자사화․기묘사화․을사사화
3. 사림세력 구성의 특징
1) 학파의 형성
2) 향당적 색채
3) 사림의 성향과 특징
4) 문묘배향운동
5) 절의사상의 고취
본문내용
다. 실제로 정몽주는 조선왕조에 성립에 반대한 유자이면서도 조선 성리학의 비조로 평가되는 학자였다. 이것은 왕조의 차원에서 조정되어 교육되고 선발된 집단에 의해 권위가 부여된 것이 아니라, 국초부터 왕조에는 비판적이면서도 보다 도덕적인 가치관으로 수식되고, 충절사상에 기초하여 전개되는 성리철학과 정치활동으로부터 재야 유자들의 학문적 권위와 정치세력으로서의 위상이 정립된 것이라는 근거가 된다.
사림파에서 다시 嶺南學派·畿湖學派 라고 부르는 것은 유자들의 거주지와 연고지가 영남 또는 기호지역이라는 데서 연유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이 嶺南學派나 畿湖學派라고 하였을 때, 그것은 재지적 기반을 갖고 있는 유자가 사사로운 사승관게를 유지하면서 유학을 연구하고 교육하였던 사실을 지칭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들 학파간에는 확연한 경계선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일정한 정파로의 분리, 학문내용상의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간에 분명한 경계가 있어 출입이 차단된 것은 아니었고, 때로는 상호 존중과 협력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발전하고 있었다.
2) 향당적 색채
재지적이며 향당적인 사림의 활동은 서원건립과 留鄕所復立運動 등에서도 확인된다. 서원에서 보여준 사회활동과 학문에 대한 열성은 바로 자신들의 주거지 중심의 서원에서 성리학에 대한 학구적 자세를 가다듬고 사림파의 정치활동을 변호하려는 노력이었다고 하겠다. 사림은 향촌의 자치를 통한 백성의 교화를 주장하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유향소복립을 도모하였으며, 薦擧制를 내세우게 되었다. 유향소복립운동은 조선시대 사림의 중요한 사회활동의 중심 과제이었으며, 사림의 遺逸들을 천거하려는 운동 또한 지금까지 과거와 蔭職만으로 관료선발을 유지해 온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움직임이었다. 이러한 사림의 정치운동은 바로 향촌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었다.
조선의 정치에서 公論의 조성 또한 향촌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이는 중종대에 이르러 안정된 중앙과 지방을 막론하고 사림이 공론의 형성층으로 간주되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그리고 정치의 무대가 왕실을 중심으로 하는 조정이 아니었고 전국을 무대로 한 유교의 공론정치가 중종대에 보였다는 사실은 사림의 향당적 요소 위에서 형성된 공론의 정치여론이 숙성되었음을 의미한다.
3) 사림의 성향과 특징
《소학》은 주자가 三代의 《소학》에서 교육하였던 내용을 복원하고자 의도했던 교과서이다. 《소학》의 敎人法은 灑掃·應對·進退의 節度와 愛親·敬長·隆師·親友하는 도리이다. 즉 《소학》이 지향하는 인간형이 《소학》교육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나아가서 인간의 완성은 국가질서의 확립이라는 논리로 연결되어 있다. 나아가서 인간의 완성은 국가질서의 확립이라는 논리로 연결되어 있다. 즉 '修身齊家治國平天下'라는 《大學》의 논리는 이《소학》교육의 실천과 연계되어 있다. 말하자면 바람직한 사회, 良村과 善俗의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敎人으로 완성된 인간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주자가례》는 冠·婚·喪·祭라는 의례를 통하여 혈연공동체인 종족공동체의 삶을 질서 있게 운영하려는 구체적인 생활규범이다. 《소학》이 지배·피지배 신분을 구별하지 않는 범사회적 규범인 인간윤리는 내용으로 한다면, 《주자가례》는 종족공동체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또 하나의 보편적 사회질서의 가치를 기저로 한 생활규범인 것이다.
조선의 사림이 순수한 학문의 세계에 머물러 있지 않고, 정치세력으로 전환하였을 때, 보편적 가치론에 기초한 《주자가례》는 이들의 정치적 보호막이 될 수 있었다. 이 점에서 조선의 사림세력이 《소학》과《주자가례》의 수용에 열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를 갖게 되는 이유를 발견할 수 있다.
4) 문묘배향운동
유학 안에서 敎學에 커다란 업적을 남긴 학자들 가운데 주요 인물의 위패를 문묘 안에 奉崇하였다. 이것은 국가적 차원의 인준과 유자들의 동의가 이루어낸 정치와 학문의 종합적 상징물로 이해된다.
조선왕조의 사전에서 문묘의 설립과 새로운 유자의 배향 문제는 역시 崇儒抑佛의 왕조답게 왕실에서 왕조례인 五禮를 수용하고 습용했다. 그러나 고려시대와는 달리 문묘배향에서 순수하게 공자의 학문을 계승·발전시켰는가의 여부만이 아니라, 당사자들의 정치적 성향이 작용하면서 문묘배향의 인물선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테면 조선 초기 문묘배향에서 李齊賢·李穡·權近이 거명되고 있었으나, 이들의 정치적 거취가 문제되면서 결국 문묘배향에 실패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조선 초기에는 왕실과 유자 관료들 간에 정치력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문묘에 배향할 새로운 인물을 선정할 수 없었음을 알 수 있다.
5) 절의사상의 고취
절의사상에서 주목되는 것 중의 하나는 그 실천적 내용이다. 사림들은 죽음으로써 왕에게 충성을 바치는 정치적 소신이나, 정치모순의 개혁을 위하여 적극적인 실천의지와 사상적 내용을 가지고 民人과 국가재정을 위한 개혁을 제안하고 실천하기 위하여 한 평생을 학문과 함께 생활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림은 예에 맞는 가장 이상적인 정치활동을 하는 충절의 모습을 자신들의 생활에서 발현하고 있었다.《주자가례》의 勵行이 갖는 의미가 성리학의 심화과정과 일치되는 것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정몽주를 자신들의 학통과 연계시키고 있는 점에서 이미 지적하였거니와, 이후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 등으로 이어지는 사림의 학통과 문묘배향에서 주장되는 이들의 행적에서 공통되는 것은 모두 실천적인 유학사사의 면모를 읽을 수 있다는 점이다.
중기 이후 문묘배향에서는 정치적 성향이 지나치게 나타나 당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문묘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유자가 있었지만, 현실문제에 대한 문제의식과 이를 개선하려는 학문적 노력, 《주자가례》의 실천에서 연유되는 절의사상의 기저는 사림이 공유하는 이념이었다.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고선의 유자들, 사림으로 형성된 정치세력은 강한 실천력을 수반하는 이념으로 무장되어 있었다. 이른바 사림의 사회사상을 절의사상이라고 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한다.
참고문헌 ------------------------------------------------------
1. 한국사 30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1998, 국사편찬위원회
사림파에서 다시 嶺南學派·畿湖學派 라고 부르는 것은 유자들의 거주지와 연고지가 영남 또는 기호지역이라는 데서 연유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이 嶺南學派나 畿湖學派라고 하였을 때, 그것은 재지적 기반을 갖고 있는 유자가 사사로운 사승관게를 유지하면서 유학을 연구하고 교육하였던 사실을 지칭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들 학파간에는 확연한 경계선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일정한 정파로의 분리, 학문내용상의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간에 분명한 경계가 있어 출입이 차단된 것은 아니었고, 때로는 상호 존중과 협력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발전하고 있었다.
2) 향당적 색채
재지적이며 향당적인 사림의 활동은 서원건립과 留鄕所復立運動 등에서도 확인된다. 서원에서 보여준 사회활동과 학문에 대한 열성은 바로 자신들의 주거지 중심의 서원에서 성리학에 대한 학구적 자세를 가다듬고 사림파의 정치활동을 변호하려는 노력이었다고 하겠다. 사림은 향촌의 자치를 통한 백성의 교화를 주장하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유향소복립을 도모하였으며, 薦擧制를 내세우게 되었다. 유향소복립운동은 조선시대 사림의 중요한 사회활동의 중심 과제이었으며, 사림의 遺逸들을 천거하려는 운동 또한 지금까지 과거와 蔭職만으로 관료선발을 유지해 온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움직임이었다. 이러한 사림의 정치운동은 바로 향촌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었다.
조선의 정치에서 公論의 조성 또한 향촌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이는 중종대에 이르러 안정된 중앙과 지방을 막론하고 사림이 공론의 형성층으로 간주되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그리고 정치의 무대가 왕실을 중심으로 하는 조정이 아니었고 전국을 무대로 한 유교의 공론정치가 중종대에 보였다는 사실은 사림의 향당적 요소 위에서 형성된 공론의 정치여론이 숙성되었음을 의미한다.
3) 사림의 성향과 특징
《소학》은 주자가 三代의 《소학》에서 교육하였던 내용을 복원하고자 의도했던 교과서이다. 《소학》의 敎人法은 灑掃·應對·進退의 節度와 愛親·敬長·隆師·親友하는 도리이다. 즉 《소학》이 지향하는 인간형이 《소학》교육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나아가서 인간의 완성은 국가질서의 확립이라는 논리로 연결되어 있다. 나아가서 인간의 완성은 국가질서의 확립이라는 논리로 연결되어 있다. 즉 '修身齊家治國平天下'라는 《大學》의 논리는 이《소학》교육의 실천과 연계되어 있다. 말하자면 바람직한 사회, 良村과 善俗의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敎人으로 완성된 인간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주자가례》는 冠·婚·喪·祭라는 의례를 통하여 혈연공동체인 종족공동체의 삶을 질서 있게 운영하려는 구체적인 생활규범이다. 《소학》이 지배·피지배 신분을 구별하지 않는 범사회적 규범인 인간윤리는 내용으로 한다면, 《주자가례》는 종족공동체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또 하나의 보편적 사회질서의 가치를 기저로 한 생활규범인 것이다.
조선의 사림이 순수한 학문의 세계에 머물러 있지 않고, 정치세력으로 전환하였을 때, 보편적 가치론에 기초한 《주자가례》는 이들의 정치적 보호막이 될 수 있었다. 이 점에서 조선의 사림세력이 《소학》과《주자가례》의 수용에 열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를 갖게 되는 이유를 발견할 수 있다.
4) 문묘배향운동
유학 안에서 敎學에 커다란 업적을 남긴 학자들 가운데 주요 인물의 위패를 문묘 안에 奉崇하였다. 이것은 국가적 차원의 인준과 유자들의 동의가 이루어낸 정치와 학문의 종합적 상징물로 이해된다.
조선왕조의 사전에서 문묘의 설립과 새로운 유자의 배향 문제는 역시 崇儒抑佛의 왕조답게 왕실에서 왕조례인 五禮를 수용하고 습용했다. 그러나 고려시대와는 달리 문묘배향에서 순수하게 공자의 학문을 계승·발전시켰는가의 여부만이 아니라, 당사자들의 정치적 성향이 작용하면서 문묘배향의 인물선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테면 조선 초기 문묘배향에서 李齊賢·李穡·權近이 거명되고 있었으나, 이들의 정치적 거취가 문제되면서 결국 문묘배향에 실패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조선 초기에는 왕실과 유자 관료들 간에 정치력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문묘에 배향할 새로운 인물을 선정할 수 없었음을 알 수 있다.
5) 절의사상의 고취
절의사상에서 주목되는 것 중의 하나는 그 실천적 내용이다. 사림들은 죽음으로써 왕에게 충성을 바치는 정치적 소신이나, 정치모순의 개혁을 위하여 적극적인 실천의지와 사상적 내용을 가지고 民人과 국가재정을 위한 개혁을 제안하고 실천하기 위하여 한 평생을 학문과 함께 생활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림은 예에 맞는 가장 이상적인 정치활동을 하는 충절의 모습을 자신들의 생활에서 발현하고 있었다.《주자가례》의 勵行이 갖는 의미가 성리학의 심화과정과 일치되는 것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정몽주를 자신들의 학통과 연계시키고 있는 점에서 이미 지적하였거니와, 이후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 등으로 이어지는 사림의 학통과 문묘배향에서 주장되는 이들의 행적에서 공통되는 것은 모두 실천적인 유학사사의 면모를 읽을 수 있다는 점이다.
중기 이후 문묘배향에서는 정치적 성향이 지나치게 나타나 당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문묘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유자가 있었지만, 현실문제에 대한 문제의식과 이를 개선하려는 학문적 노력, 《주자가례》의 실천에서 연유되는 절의사상의 기저는 사림이 공유하는 이념이었다.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고선의 유자들, 사림으로 형성된 정치세력은 강한 실천력을 수반하는 이념으로 무장되어 있었다. 이른바 사림의 사회사상을 절의사상이라고 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한다.
참고문헌 ------------------------------------------------------
1. 한국사 30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1998, 국사편찬위원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