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찰
실험결과를 보아 하중가 클수록 큰 토크이 시험편에 작용하므로 당연히 비틀림 각와 비틀림 변형률도 크게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토크과 값을 비교해보았더니 값이 더 컸다. 이 것은 주로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형률 공식과 최대전단력 공식을 이용하여 이론값을 계산하고, 실험 결과 값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론값과 실험값 비교
이론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지름이 D인 중실원형 단면에 비틀림 모멘트 T가 작용할 때 최대 전단응력 공식은 아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틀림각이 이며 길이 L, 반지름 c인 원형축의 전단변형률의 분포를 알아보자.
우선 그림상의 원통을 축에서 분리하고, 원통상에 두 인접원과, 두 인접직선이 만든 미소정방형 요소를 생각했을 때, 축이 비틀림 하중을 받으면 미소정방요소는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형률 관계
: 온도차, : 열팽창계수
3.5 전단응력과 변형률 관계
3.6 비틀림 응력과 변형률 관계
단위길이당 비틀림 각 :
총 비틀림 각(전 비틀림 각)
전단변형률(임의 점) :
전단응력(임의 점) :
전단변형률 (단면의 표면) :
전단응력(단면의 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틀림 각 만큼 회전
- 모든 단면은 평면과 원형으로 남음
- 모든 반지름은 직선을 유지
- 회전각 는 양끝 사이에서 선형적으로 변함
<바깥 표면에서의 전단변형률>
abcd는 변형 후 -> 로 변형 -> 순수전단 (pure shear) 상태에 있음
전단변형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