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관』, 일조각, 1991.
민중사학론을 ‘통일전선론적 관점’이자 ‘도식적 사적유물론적 관점’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김성보, 「‘민족사학’ 아직도 유효한가」, 『역사비평』14(가을), 1991.
그간 민족주의의 완성이나 사회의 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관을 '도쿄재판 사관', '코민테른 사관', '자학사관', '암흑사관' 등으로 규정하고, 특히 1990년대에 들어와 활발하게 전개된 종군위안부 할머니들을 중심으로 한 전쟁 피해자들의 고발과 증언에 대해 극히 반동적인 거부의 태도를 표명하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관연구회와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추구하는 것은 '서구적 근대'에 반대하는 일본 내셔널리즘, 일본 중심의 아시아 패권주의이다.
후소샤 교과서는 일본의 경제대국화를 '세계의 기적'이라고 극찬하고(308쪽), 국력이 신장되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관연구회 회원)가 말하는 ‘국민이야기’는, 결국 ‘자기’쪽에서, 자기가 누구인지를 강제로 확정하기 위하여 엮어낸 것이다. (중략) ‘건전한 내셔널리즘’이라는 일종의 융화는 있을수 없다. 이 점을 계속 회피한다면, ‘국민의 이야기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그 다리를 만들지 못하면 우리는 미래로 절대로 갈 수 없다. 고로 지금이 곧 미래이다.
◈참고문헌◈
차하정, 1997 "역사의 본질과 인식"
차하정. 1988. 청담논단. "사관이란 무엇인가?"
한국사 연구회. 1969. 지식산업사. "한국사 연구 입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