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규 - 화경청적
8. 와비
9. 일본 다도의 3거장
10. 다도의 예법
11. 일본의 다구
12. 일본의 다완
13. 다도와 함께 발전한 일본 문화
Ⅱ. 한국의 다도
1. 한국의 차문화사
2. 차
3. 한국의 다구
4. 우리나라의 다완
5. 차 음용법
*참고자료 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경청적(和敬淸寂)이라는 네 자로 대별된다. 이것을 다도(茶道)의 사규(四規)라고 한다.
和란 ‘어울림’을 말한다. 내가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데 그 어울림 속에 어떠한 불평도 복잡함도 계급도 없는 것이다. 여기에는 오직 주인과 손님의
|
- 페이지 3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경청적(和敬淸寂)'
3> 다도는 과연 일본의 전통문화인가?
① 차도는 남성들의 문화였다
② 생활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차도
4> 다도 법
① 다도 순서
② 센챠 만드는 방법
5> 대표적 차 재배지 - 시즈오카현
6> 차도구
7> 일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경청적, 와비가 있다.
일기일회란 일생에 단 한번뿐인 기회 라는 의미로 누군가에게 다도를 대접할 때 후회가 없도록 잘 대접하라는 의미이다.
화경청적은 서로 사이좋게 지내는 것, 서로 공경하는 것, 마음을 깨끗하게 하는 것, 어떠한 경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4.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경청적 등의 다도사상들을 만들어내었다. 이는 사무라이 정신과도 상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한국에서는 문인들을 중심으로 다도 문화가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무아의 지경\'에 이르는 것을 다도의 정신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