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22건

삼봉도의 실체에 관한 연구」,『한일관계사연구』 제44집, 2012 6. 손승철,「울릉도의 무인도화와 독도 영유권 문제」,『일본의 독도연구 동향과 분석』, 2014 7. 송병기,『울릉도와 독도, 그 역사적 검증』, 2010 8. 신숙정·이성주,「유적유물을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삼봉도(三峰島)·가지도(可支島) 등으로 불려왔으며, 일본에서는 송도(松島)라고 불렀다. 오늘날의 명칭인 [독도](獨島)로 처음 쓰인 것은, 1906년(광무10년) 울릉군수 심흥택(沈興澤)의 [울릉군수보고서]에서 [本郡所屬獨島]라는 기록과 한말 지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삼봉도, 가지도, 석도 등으로 불렸으며, 오늘날의 독도로 명칭을 쓰기 시작한 것은 1906년(광무10년)이다. 하지만 현재 독도는 일본과의 영토분쟁에 휘말려 독도인지, 죽도(竹島, 다케시마)인지도 불분명한 상태이며, 앞으로도 분쟁의 해결은 요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15.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삼봉도(三峰島)라 불렸고, 넷째 정조 18년에는 「물개(可支)가 서식한다」하여 물개섬(可支島)이라 하였다. 다섯째 고종 경자년(1900) 칙령(勅令)제41호에 「울릉도가 죽도(竹島)와 석도(石島)를 관할한다」하여 독도를 돌 섬이라 하고 울릉도 소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7.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가 있다. 바다제비·슴새·괭이갈매기 등 이곳에 모여드는 희귀조를 보호하기 위해 1982년 11월 천연기념물 제336호 독도 해조류(바다제비·슴새·괭이갈매기) 번식지로 지정하였다.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