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터민들의 한국 부적응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미비한 정착 지원, 한국인의 새터민에 대한 편견의 인식에서 오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1. 서론 : 창업 배경
- 사회적 문제 인식
2. 본론 : 기업 소개
- 미션, 비전 및 목표
- 사업 세부 내
새터민 탈북 브로커, 북한이탈주민 새터민과 한국, 새터민,북한이탈주민,탈북 브로커,새터민과 한국,한큐 경제학,남북 청년 소통,새터민의 한국 정착,새터,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0.10.1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새터민 아동의 특징
2) 새터민 아동의 학업 적응
2. 새터민 아동의 현황 및 실태
3. 새터민 아동의 남한 교육환경 정착 과정
4. 새터민 아동 지원 복지 정책 및 서비스
1) 새터민 아동 지원 정책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새터민들이 남한사회에 정착한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사회적응교육이나 직업교육보다 훨씬 장기적인 차원에서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경옥(2002).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을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 황선영,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2008.
전우영 조은경, “북한에 대한 고정관념과 통일에 대한 기대감”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14(1), 2000.
조정아 정진경, “새터민의 취업과 직장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탈주민’으로 공식화
2005년~2008년 -> 새터민
현재 -> 북한이탈주민, 탈북민, 새터민
북한이탈주민은
90년대 중반 북한의 식량사정 악화를 계기 꾸준히 증가
1999년 100명->2002년 1000명->2006년에는 2000명을 초과
2012년 7월까지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3.05.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