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서 양이 없고 양쪽 모두 다시 발한하지 못함은 또한 같다.
然風爲陽病屬太陽,而曰無陽,誠不可曉,闕疑可也.
그러므로 풍은 양병이 되고 태양에 속하는데 무양이라고 말함은 진실로 깨닫지 못하니 빠진 것이 의심스럽다.
或曰無陽者,謂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문헌
윤덕노 (2015). 음식이 상식이다. 서울: 더난출판.
정광호 (2008). 음식천국 중국을 맛보다.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맹주억 (2012). 한중 음식명 명명방식의 대조분석. 중국언어연구.
유현아 (2017). 중국어 어휘에 나타나는 음식문화 고찰. 중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4.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강(生姜), 대조(大棗), 박하(薄荷).
加 울금(鬱金), 목호접(木蝴蝶). - 자음보신(滋陰補腎), 이규계어(利竅啓語)
3) 구안괘사(口眼斜)
(1) 證狀 : 입과 눈이 삐뚤어지고(口眼斜), 혀가 옆으로 삐뚤어지거나(舌斜), 혹은 자갈을 물은 듯(卷縮), 혹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볶아서 가루를 낸다. 이것을 물에 개어 밀가루로 환(丸)을 지어 새앙탕(생강)이나 꿀탕으로 매일 한 돈씩 먹는다.
8. 독성 및 부작용
- 살구의 HCN은 ferricytochrome oxidase를 저해시켜 죽음까지 이르게 한다. 체내 호흡이 정지되고 세포의 산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하초는 방광의 위 입구이니 주로 청탁을 분별하여 주로 나오고 들이지 않으므로 전수하는 길이 된다고 했다.
靈樞曰,水穀者,常居於胃中,成糟粕而俱下於大小腸而成下焦,而俱下,濟泌別汁,循下焦而入膀胱焉.
영추에서 말하길 수곡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