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을 함께 이어 융합을 꾀했으며, 특히 민심을 수습할 필요가 있을 때는 굿을 했다. <<서동요(薯童謠)>>
<원문>
<번역문>
<역사적 가치>
<학문적 가치>
<<헌화가(獻花歌)>>
<원문>
<양주동 역>
<번역문>
<역사적 가치>
<학문적 가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3.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등 4편이 전합니다.
헌화가
紫布岩乎 ○希
執音乎手母牛放敎遣
吾 ○不喩慙○伊賜等
花 ○折叱可獻乎理音如
자줏빛 바위 가에
잡고 가는 암소를 놓게 하시고
나를 부끄러워하지 않으신다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彗星也白反也人是有叱多
後句 達阿羅浮去伊叱等邪
此也友物叱所音叱彗叱只有叱故
녜샛물가 건달파에 // 놀은잣흘란 바라고
옛군도 왔다
봉화 살안가 이슈라 // 삼화에 올암 부샤올 듣고
달두 바즈리 혀널바에 // 길 쓸 별 바라고
혜성이여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가의 작품세계
신라가요(향가)의 이해
1. 향가의 발전
<서동요>의 이해
(1) 서동요(薯童謠) : 백제 무왕
(2) 헌화가(獻花歌): 견우노인
(3)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4) 처용가(處容歌) : 처용
(5)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헌화가 다음에 나오는 해가에서는 <또 한 노인이 있어 고하되(又有一老人告曰>로 기술되어 있는데 앞의 노옹과 구분하고 있는 것이 확실하지만 설화의 끝 부분에 해가의 소개가 끝나고 나서 <노인의 헌화가는 다음과 같다(老人獻花歌
|
- 페이지 3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