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백당
경주 손씨 대종가로 입향조인 양민공 손소가 건립하였으며 그의 아들인 우재 손중돈과 그의 외손이며 동방 18현으로 문묘에 배향된 회재 이언적이 태어난 곳이다.
시기적으로도 오래된 집이기도 하지만 단정하게 절제된 형태와 간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0.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백당에서 보이는 성주봉은 어떤 역할을 하는 공간구성 요소인가?
8. 다음의 빈칸에 들어간 단어는 무엇인가?
9. 한옥의 가변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구성요소 2가지는 무엇인가?
10. 우리나라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한옥이 가장 많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0.09.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백당
경주 손씨 대종가로 입향조인 양민공 손소가 건립하였으며 그의 아들인 우재 손중돈과 그의 외손이며 동방 18현으로 문묘에 배향된 회재 이언적이 태어난 곳이다.
사당입구
시기적으로도 오래된 집이기도 하지만 단정하게 절제된 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4.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름이 ‘함허루(함허루: 허함이 가득 차고 잠긴다는 의미)다, 이 정자는 중건할 때 붉은 적송(춘양목)으로 건축했고, 건축한지 오래되지 않아 아직도 적송 고유의 붉은 기가 생생하다, 일몰 때 열려진 문틀을 통해 스며드는 햇볕이 홍송의 주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4.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랑채의 이름을 따서 서백당 또는 송첨이라고 불리며, 중요민속자료 제3호이다.
*무첨당
물봉골 남향받이 언덕에 자리한 여강 이씨들의 대종가는 안채와 별당채, 사당채로 이루어지는데 무첨당은 바로 별당 건물이다. 보통 별당은 살림채 안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7.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