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도 마을에서 인정하는 ‘주인’은 다 있다. 판잣집 입구마다 마을자치회에서 만든 주민 명표가 붙어있어 주소도, 건축물 대장도 없지만 ‘주인’이 존재하고 있음을 웅변해주고 있었다. 1) 개항이후 서양 집의 등장
2) 식민지 시대 공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양사론』Ⅵ호, 한국서양사학회, 1965.
에릭 홉스봄, 「사회혁명:1945~90년」,『극단의 시대 20세기 역사 下』, 까치글방, 1997.
이채욱, 「1905년~7년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사회 민주노동당」, 『서양사 연구』, 제12집
민두기, 「제국주의에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7.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상생활사
(개항 이후 집의역사)
1. 개항 이후 조선은 수많은 변화를 겪게 됩니다. 이에 따라서 여러 목적에 의해 서양식 건축물이 필요하게 되었고, 또 지어지게 됩니다.
첫 번째 보실 사진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건물로 꼽히는 세창양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양집의 등장
-세창양행
-명동성당
-종교건축물
-외국공관
-의료시설
-그 외 건축물
2.식민지 시대 공공건물
-총독부
-경성부청
3.식민지 시대 새로운 집
-토막주택
-문화주택
-영단주택
-도시형한옥
4.해방이후 집
-해방촌
5.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집값을 이끌며 한국부촌의 계보를 이어가고 있다. 1. 개항 이후 서양 집의 등장
2. 식민지 시대 공공건물
3. 식민지 시대 새로운 집
토막
문화주택
영단주택
도시형 한옥
4. 해방 이후 집
해방촌
5. 박정희 개발시대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