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리개=곡병(曲屛)
간가(間架)
간찰(簡札)
갈필(渴筆)
강약(强弱)
강호(强豪)
개형(槪形)
결구(結構)
겸호(兼豪)
경중(經重)
경필(硬筆)
고묵(古墨)
골법(骨法)=골서(骨書)
골서법(骨書法)
곡직(曲直)
구궁법(九宮法)
구궁지(九宮紙)
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08.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예’를 얼마만큼 소화하고 작품으로 다시 만들어 내는가의 문제이다. 사실 그 완성도만 확보된다면 ‘한국서예’를 통한 해외시장 개척에 가장 유망한 방향이 이쪽일 수 있기 때문이다.
Ⅷ. 서예의 발전 방향
동양예술이라는 말의 용어 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특히 해서행서초서의 품격이 높았으며, 당시 복고주의의 지도적 입장에 있었다. 그의 아내 관도승(管道昇)은 묵죽(墨竹)에 뛰어났고, 아들 옹(雍:仲穆)도 산수 화조 화가이며 서예에도 탁월하였다. 또 화우(畵友) 문인(門人)이라 할 수 있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6.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어 사용에는 명확한 개념과 반드시 논리성을 지녀야 하며 붓글씨를 예술이라고 하는 말은 삼가야 한다.
서예의 목적은 자신의 인격수양에다 비중을 두는 도법이기도 하며 글씨를 통해서 남을 감동시키며 자아의 쾌를 얻을 수도 있는 것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예, 도서출판 다운샘
◇ 이동주(1995), 우리나라의 옛 그림, 서울 : 학고재
◇ 이해랑(1984), 한국미술사, 정화인쇄문화사
◇ 야나기 무네요시, 유종열 저, 심우성 역(1996), 조선을 생각한다, 서울 : 학고재
◇ 최석태(2001), 조선의 풍속을 그린 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