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및 선정이유
우리 나라 전통 건축이라고 하면 사찰 건
축을 많이 떠올리는데 저희 1조에서는 서
원건축이란 무엇인가? 를 통해서 서원건
축도 빼어난 자연 경관을 가지고 지어진
우리나라 전통건축이라는 것을 알리고 싶
었습니다.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8.0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
안 주
영 변
안 주
강 원 도
충렬서원
포충사
창절서원
홍명구
김응하
박팽년
효종원년(1650)
현종 6년(1665)
숙종11년(1685)
효종 3년(1652)
현종 9년(1668)
숙종25년(1699)
금 화
철 원
영 월
함 경 도
노덕서원
이항복
인조 5년(1627)
숙종13년(1687)
북 청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여칸이 건립되었다. 이에 다음해 1573(선조6년) 2월 16일에 인근서악서원에 봉안되어 있었던 선생의 위판을 이안하고 처음으로 향사를 행하였으며 12월에는 감사 김계휘의 계달로 서액서원에 앞서 사액을 받았다. 옥산서원 설립 후 경주권 사림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건축
남녘의 벅수, 이종철외, 김향문화재단, 1996.
그림과 명칭으로 보는 한국의 문화유산, 정영호 감수, 시공테크, 1999.
한국의 전통민가, 주남철, 대우학술총서, 1999.
마을시리즈, 향토문화진흥원 Ⅰ. 서 론
Ⅱ. 전통과 민속문화
1. 전통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8.08.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5장. 한국의 주거건축
제 6장. 한국의 불사건축
제 7장. 한국의 탑파건축
제 8장. 한국의 유교건축
제 9장. 한국의 성곽건축
제10장. 한국의 누정건축
제11장. 풍수지리설의 개념
제12장. 전남지방건축의 특성
제13장. 고건축 조사방법
|
- 페이지 9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