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27건

선가의 그림 \'십우도\'의 참뜻은 미륵부처님을 찾아야 산다는 것이다. 선가의 그림 '십우도' 1. 심우(尋牛) 2. 견적(見跡) 3. 견우(見牛) 4. 득우(得牛) 5. 목우(牧牛) 6. 기우귀가(騎牛歸家) 7. 망우재인(忘牛在人) 8. 인우구망(人牛俱忘)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가는 길을 가르치거나 알려주는 것도 사람이 살아가는 길이다. 그런 모습을 가장 잘 실천한 이가 원효다. 그래서 원효의 사상은 십우도로 비견되어 설명하기 편하다. 마지막은 입전수수(入廛垂手:시중에 들어가 중생을 돕다)다. 그림은 인자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십우도』, 손민규 옮김(서울 : 태일출판사, 1999). 이기상, 『다석과 함께 여는 우리말 철학』(서울 : 지식산업사, 2004). 마쓰다니 후미오, 장순용 옮김 『붓다의 가르침』, (서울 : 고려원, 1991). 이효걸, 『논쟁으로 보는 한국 철학』, (서울 : 예문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그림에 있어서 능(能)하지 않은 것이 없었고 그림을 완성할 때마다 스스로 장담하여 말하기를 신운생동(神韻生動)이라 했는데 실로 헛소리가 아니었다. 어려서부터 문자는 해독치 못했으나 널리 명인(名人)의 진적(眞蹟)을 보고 자세히 기록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그림이다. 견우(見牛)란 소를 보았다는 것으로 우리의 각 작용에 몰입하면 마음의 움직임을 뚜렷이 느낄 수 있으며, 우리는 소의 꼬리를 보게 되는 것이다. 득우(得牛) 네 번째는 득우(得牛), 즉 \'소를 얻다\' 이니, 동자승이 드디어 소의 꼬리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